치위생사 국가고시/치아형태학

[치아형태학]치위생사 국시과목 치아형태학 요점정리12(치아의 형태-하악 제1소구치,2소구치)/ 치위생사 합격노트

콩지_11 2024. 5. 18. 00:46
728x90
320x100

 

안녕하세요 콩지입니다.

오늘은 하악 제1,2 소구치 치아형태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상악과 비교해서 보는게 좋아요!!!

자주 출제되는 기출문항 A  빨간부분은 국시 치기전에 한번씩 쓱 훑고 가는걸 추천해요>_<

그럼 오늘도 화이팅:-)

 

 

 

 

1. 하악 제1소구치 [Mandibular 1st premolar]

*하악 소구치 가장 작은 치아

[길고 날카로운 협측교두 ] 하악 견치와 비슷하게 저작 시 기능교두로 작용

1) 협면 [Buccal surface]

중앙협측연의 발육이 좋아 협측교두가 뾰족하며, 협면융선의 발육이 좋음

2) 설면 [Lingual surface]

대부분의 근*원심면 관찰 가능 / 교합면이 치경 방향으로 심하게 설측경사를 이룸

설측교두가 아주 작아서 견치의 설면결절과 유사하게 나타나 견치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치아

근심협측엽과 설측엽의 경계선에 근심설면구 근심변연융선과 설측교두의 근심교두경사를 분리시킴

3) 근심면 [Mesial surface]

근심변연융선 설측경계에서 근심설측으로 발육함몰 이 속에 근심설측구

소구치 설측교두의 발육이 가장 미약한 치아 [협측교두-설측교두]=3mm=3:1

설측기울기가 가장 심한 치아 / 협측삼각융선의 기울기는 근심변연융선과 평행하며 삼각융선이 위쪽에 위치함

4) 원심면 [Distal surface]

발육구 X / 원심변연융선이 근심변연융선보다 높음

근심변연융선에서 보이는 설측경사가 없으며, 치아 장축에 대해 더 직각에 가까움

5) 교합면 [Occlusal surface]

협측교두융선 + 변연융선 + 설측엽 = 삼각형

중간협측엽이 치관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협면융선이 뚜렷함

발육이 좋은 협측삼각융선 + 발육이 약한 설측삼각융선 = 횡주융선

원심접촉 부위가 근심접촉 부위보다 구치와 접촉하기 때문에 더 넓음

6) 치근 [Root]

단근치 / 수각 협측과 설측에 1개씩 존재

 

 

 

2.하악 제 2소구치 [Mandibular 2st premolar]

대구치화 경향이 나타나는 치아

1) 협면 [Buccal surface]

협측교두가 제 1 소구치보다 낮고 근원심 협측교두융선의 경사가 완만함

2) 설면 [Lingual surface]

[협측교두-설측교두]=1~1.5mm=2:1

설측엽의 발육이 좋아 설측교두가 더 길게 만들고 교합면이 적게 보임

[2교두형] 1개의 설측교두와 원심설측에 발육함몰이 있으며 설면구는 X

[3교두형] 교두 2근심설측교두가 더 길고 크며 근심설측교두&원심설측교두 사이에 설면구

3) 근심면 [Mesial surface]

치관&치근은 협설로 더 길며, 설측엽의 발육이 더 좋음

변연융선이 치아 장축에 대해 직각으로 만나며 치관에 근심설측구가 나타나지 않음

4) 원심면 [Distal surface]

원심변연융선이 근심변연융선보다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교합면이 근심면보다 더 잘 보임

5) 교합면 [Occlusal surface]

[2교두형] 1개의 잘 발달된 설측교두가 협측교두와 연결되어 1개의 횡주융선을 이루며 중심소와 X

[2교두형] 대부분 2 교두형은 원심설측 교두융선을 넘어가는 발육함몰 협측교두 근심설측교두

[3교두형] 2소구치의 일반적인 형태

[3교두형의 크기와 높이의 순서] 협측교두 근심설측교두 원심설측교두

협측교두와 근심설측교두에서 주행하는 삼각융선이 연결되어 횡주융선을 이룸

소구치 유일하게 있는 중심소와는 협측교두융선과 교합면의 설측면의 중간에 위치

[잘 발육된 삼각융선을 가지고 있는 교두]

깊은 발육구로 분리 및 발육구들은 중심소와에 보이면서 교합면상에 U, H, Y형을 이룸

6) 치근 [Root]

단근치 / 치근관 1/ 수각 2, 3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