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콩지입니다.
어제에 이어 오늘은 X선 필름현상 과정 에 대해 요점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부분도 출제가 자주 되었던 부분이라 확실히 개념 정리하고 가시면 좋을것 같아요!!!
★구강영상학에 대한 포스팅은 무단도용, 무단복제 금합니다
필름 현상과정
가. 현상
필름을 필름걸이에 건 후 현상액이 감광유제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현상액에 넣고 가볍게 흔듦
구내 필름) 눈으로 상의 변화를 확인하여 적절한 흑화도를 보일 때 중간수세와 정착과정으로 진행
나. 중간수세
과현상, 현상얼룩 방지나 정착액의 기능을 연장시키기 위해 현상 후 필름을 물에 15~20초간 중간수제
다. 정착
[정착시간] X선에 노출되지 않은 브롬화은을 깨끗이 제거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2배
정착시간은 젤라틴이 충분히 경화될 수 있도록 필름과 정착액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 제조사의 지시를 따름
라. 수세
유제 속의 hypo, 은염, 그 밖의 처리용 약제는 충분히 흐르는 물에서 양면을 연속적으로 씻어 제거
마. 건조
건조얼룩은 필름의 흑화도를 불균형하게 만들기 쉬움
먼지가 적은 그늘에서 가능한 자연건조, 그러지 못할 경우 건조기(온도의 급상승 주의)
4. 수동현상
전면에는 양쪽으로 검은 구멍이 있어서 양팔을 넣어 작업
상자의 내부에 4개의 원형 구멍 有 → 그 속에 작은 통 넣음
원통에 오른쪽부터 현상액, 중간수세액, 정착액, 최종수세액을 담아 한 줄에 배열
5. 자동현상
가격이 비싸고 매일 소요되는 운영비 증가
현상, 정착, 수세, 건조를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하는 특수장치
[표 6-1] 현상과정의 문제점과 해결책
[저노출] 동일한 조건으로 2장의 필름을 현상한 후 1장이 밝게 나왔을 때 원인
주원인 | 원인 | 필름의 상 | 문제점 | 해결책 |
시간과 온도 | 저현상 | 밝은 상 | 현상시간 부족 낮은 현상액 온도 오래된 현상액 |
현상시간 점검, 타이머 점검 현상액 온도점검, 온도계 점검 현상액 교체 또는 보충 |
과현상 | 어두운 상 | 현상시간 초과 높은 현상액 온도 고농도의 현상액 |
현상시간 점검, 타이머 점검 현상액 온도 점검, 온도계 점검 현상액 교체 또는 보충 |
|
과립상 | 불규칙한 상 | 현상처리용액과 수세액 간의 온도 차이가 클 때 | 현상액, 정착액, 수세액의 온도차가 크지 않도록 조절함 |
|
화학적 오염 | 현상액 오염 | 검은 반점 | 현상과정 시작 전에 현상액이 묻은 경우 |
현상 전후에 암실 내 작업대를 청결하게 현상 시작 전 작업대가 깨끗한지 확인 깨끗한 종이를 깔고 그 종이 위에서 작업함 |
정착액 오염 | 흰 반점 | 현상과정 시작 전에 정착액이 묻은 경우 |
||
착색 | 암갈색 또는 회색 | 정착액의 기능 저하 정착시간 부족 |
정착액 교체 충분한 정착시간 준수(투명시간의 2배) |
|
황갈색 | 부족한 수세 | 충분한 시간 동안 흐르는 물에서 수세 | ||
필름 취급 | 현상액 부족 | 직선으로 흰 부분 | 현상액이 부족하여 필름이 충분히 담가지지 못함 |
현상 전 현상액과 정착액의 양을 점검하여 부족할 경우 보충 |
정착액 부족 | 직선으로 검은 부분 | 정착액이 부족하여 필름이 충분히 담가지지 못함 |
||
겹친 필름 | 겹친 부분에 희거나 검은 부분 |
현상 중에 필름이 겹쳐져 붙음 | 현상 도중 필름이 붙지 않도록 충분히 분리 | |
기포 | 흰 반점 | 현상처리용액에 넣기 전에 필름에 기포가 부착됨 |
현상처리용액에 담글 때 필름걸이를 가볍게 흔들어 줌 |
|
손톱 자국 | 반달 모양의 검은 선 | 필름 취급과정에서 손톱에 눌림 |
필름 가장자리만 잡고 취급 필름을 가볍게 잡음 손톱을 길게 기르지 않음 작업 전후에 손 씻음 |
|
필름 꺾임 | 검은 직선 | 필름 취급과정에서 꺾임 | ||
지문 | 지문 모양의 동심원들 |
필름면을 손가락으로 잡은 경우 |
||
정전기 | 가늘고 검은 나뭇가지 모양의 선들 | 필름 포장을 너무 빨리 벗길 때 |
필름 포장을 천천히 개봉 | |
술자의 몸에 남아 있는 정전기 |
필름 포장을 벗기기 전에 도체 만짐 | |||
긁힌 필름 | 흰 선들 | 감광유제가 날카로운 것에 긁힘 |
필름을 주의해서 다룸 | |
찢어진 필름 | 불규칙한 선 | 필름이 찢어짐 | 필름포장을 벗길 때 과도한 힘을 주지 않도록 주의 | |
빛 | 빛에 노출 | 노출된 부분이 검게 보임 |
필름이 실수로 또는 우연히 빛에 노출됨 |
사용 전에 필름 포장 확인 빛이 있는 곳에서 필름 포장을 벗기지 않음 |
누출된 빛 | 암실 차광성 검사, 암상자 확인 | |||
필름 포그 | 대조도 부족 전반적인 회색조 증가 |
부적절한 안전등 | 안전등 검사(필터, 전구, 거리) | |
빛의 노출 | 암실 차광성 검사 | |||
유통기한이 지난 필름 | 필름 유통기한 확인 | |||
부적절한 필름 보관 | 서늘하고 건조하며 안전한 장소에 보관 | |||
오염된 현상처리용액 | 현상처리탱크에 덮개를 씌워 오염 X | |||
고온의 현상액 | 현상액 온도 점검 |
'치위생사 국가고시 > 구강영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강영상학]치위생사 국시과목 요점정리 평행촬영방법 장단점 (0) | 2024.06.18 |
---|---|
[구강영상학]치위생사 국시과목 x선 구내 촬영방법 (2) | 2024.06.17 |
[구강영상학]치위생사 국가고시 요점정리 x선 필름 처리1 (2) | 2024.06.15 |
[구강영상학]치위생사 국가고시과목 요점정리7(치과용 X선 영상의 특성) (0) | 2024.05.25 |
[구강영상학]치위생사 국가고시 요점정리6(X선 필름 구성 및 종류) (0) | 2024.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