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콩지입니다.
오늘은 등각촬영법에 대해 요점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부분도 출제가 자주 되었던 부분이라 확실히 개념 정리하고 가시면 좋을것 같아요!!!
★구강영상학에 대한 포스팅은 무단도용, 무단복제 금합니다
★등각촬영법
1. 등각촬영법의 기본개념 및 원리
1) 필름에 나타나는 치아상의 길이는 원래 치아의 실제 길이와 동일함
2) 치아 장축과 필름이 이루는 각의 가상 이등분선에 중심선을 직각으로 조사하는 촬영법
2. 등각촬영법의 방법
가. 촬영방법
[손가락 필름 고정] 상악(엄지손가락) 하악(검지손가락)
부위 | 수직각 | 수평각 | 중심방사선 | |
상악 | 중, 측절치 | +45 | 양측 중절치 인접면 | 비첨(필름을 수직으로 세워서 위치시킴) |
견치 | +45 | 견치 근심부 접번 | 비익 | |
소구치 | +35 | 소구치 인접면 | 동공하방 연장선과 비익-이주선이 만나는 점 | |
대구치 | +25 | 대구치 인접면 | 외안각 하방 연장선과 비익-이주선이 만나는 점 | |
하악 | 중, 측절치 | -15 | 양측 중절치 인접면 | 하악 하연 상방 약 3cm |
견치 | -20 | 견치 근심부 접점 | 비익하방선과 하악 하연 상방 3cm의 교점 | |
소구치 | -10 | 소구치 인접면 | 동공 하방선과 하악 하연 상방 3cm의 교점 | |
대구치 | -5 | 대구치 인접면 | 외안각하방선과 하악 하연 상방 3cm의 교점 |
3. 등각촬영법의 응용
(1) 좁은 악궁
[하악 중절치]
좌우 소구치간의 거리가 짧음 → ‘전치 필름 줘는 법’ 사용
[견치]
악궁-횡단법 사용 → 견치를 필름 중심에 위치시키며 필름의 치근단쪽을 반대편 상악의 교합면에 닿게 위치
(2) 골융기
[상악의 골융기]
구치의 치근단과 중첩되어 나타나 방사선 불투과성, 치근단 부위 평가 어려움
→ 필름을 치아와 골융기 사이에 가볍게 유지, 촬영
[하악의 골융기]
설측 측방 有 → 필름유지기구 사용
4. 등각촬영법의 장& 단점
가. 장점
1) 구개가 낮은 환자에게 용이
2) 단조사통 사용 → 노출시간 단축
3) 평행촬영법이 어려운 해부학적 장애물이 있는 환자에서 적용가능
나. 단점
1) 수직각의 정확한 조준 어려움 → 상의 연장〮축소
2) 손가락으로 필름 유지 → 환자의 손가락이 일차방사선에 노출됨
3) 상악 구치부 촬영 → 관골돌기가 낮거나 돌출된 환자의 경우 치근단 평가가 어려움
4) 치아의 치관〮치근부 → 필름 사이의 거리 각각 달라 상 확대율 차이에 의한 상의 왜곡 발생
5. 등각촬영법과 평행촬영법의 비교
상투영의 5원칙 | 등각촬영법 | 평행촬영법 |
1. 방사선원은 가능한 작아야 한다. | 0 | 0 |
2. 방사선원과 피사체 간의 거리는 가능한 한 멀어야 한다. | X | 0 |
3. 피사체와 필름간의 거리는 가능한 한 짧아야 한다. | 0 | X |
4. 피사체와 필름은 가능한 한 평행이 되어야 한다. | X | 0 |
5. 중심선은 피사체와 필름에 대해 각각 가능한 수직으로 조사되어야 한다. | X | 0 |
'치위생사 국가고시 > 구강영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강영상학]치위생사 국가고시 요점정리 교합촬영법 및 장단점 (0) | 2024.06.20 |
---|---|
[구강영상학]치위생사 국가고시 요점정리 교익촬영법 및 장단점 (0) | 2024.06.20 |
[구강영상학]치위생사 국시과목 요점정리 평행촬영방법 장단점 (0) | 2024.06.18 |
[구강영상학]치위생사 국시과목 x선 구내 촬영방법 (2) | 2024.06.17 |
[구강영상학]치위생사 국가고시 요점정리 x선의 필름현상 과정 및 문제점 해결방법 (1) | 2024.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