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사 국가고시/구강영상학

[구강영상학]치위생사 국가고시 요점정리 등각촬영법 장단점

콩지_11 2024. 6. 19. 00:10
728x90
320x100

 

안녕하세요 콩지입니다.

오늘은 등각촬영법에 대해 요점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부분도 출제가 자주 되었던 부분이라 확실히 개념 정리하고 가시면 좋을것 같아요!!!

★구강영상학에 대한 포스팅은 무단도용, 무단복제 금합니다

 

★등각촬영법

1. 등각촬영법의 기본개념 및 원리

1) 필름에 나타나는 치아상의 길이는 원래 치아의 실제 길이와 동일함

2) 치아 장축과 필름이 이루는 각의 가상 이등분선에 중심선을 직각으로 조사하는 촬영법

2. 등각촬영법의 방법

. 촬영방법

[손가락 필름 고정] 상악(엄지손가락) 하악(검지손가락)

부위 수직각 수평각 중심방사선
상악 , 측절치 +45 양측 중절치 인접면 비첨(필름을 수직으로 세워서 위치시킴)
견치 +45 견치 근심부 접번 비익
소구치 +35 소구치 인접면 동공하방 연장선과 비익-이주선이 만나는 점
대구치 +25 대구치 인접면 외안각 하방 연장선과 비익-이주선이 만나는 점
하악 , 측절치 -15 양측 중절치 인접면 하악 하연 상방 약 3cm
견치 -20 견치 근심부 접점 비익하방선과 하악 하연 상방 3cm의 교점
소구치 -10 소구치 인접면 동공 하방선과 하악 하연 상방 3cm의 교점
대구치 -5 대구치 인접면 외안각하방선과 하악 하연 상방 3cm의 교점

 

3. 등각촬영법의 응용

(1) 좁은 악궁

[하악 중절치]

좌우 소구치간의 거리가 짧음 전치 필름 줘는 법사용

[견치]

악궁-횡단법 사용 견치를 필름 중심에 위치시키며 필름의 치근단쪽을 반대편 상악의 교합면에 닿게 위치

(2) 골융기

[상악의 골융기]

구치의 치근단과 중첩되어 나타나 방사선 불투과성, 치근단 부위 평가 어려움

필름을 치아와 골융기 사이에 가볍게 유지, 촬영

[하악의 골융기]

설측 측방 필름유지기구 사용

4. 등각촬영법의 장& 단점

. 장점

1) 구개가 낮은 환자에게 용이

2) 단조사통 사용 노출시간 단축

3) 평행촬영법이 어려운 해부학적 장애물이 있는 환자에서 적용가능

. 단점

1) 수직각의 정확한 조준 어려움 상의 연장축소

2) 손가락으로 필름 유지 환자의 손가락이 일차방사선에 노출됨

3) 상악 구치부 촬영 관골돌기가 낮거나 돌출된 환자의 경우 치근단 평가가 어려움

4) 치아의 치관치근부 필름 사이의 거리 각각 달라 상 확대율 차이에 의한 상의 왜곡 발생

5. 등각촬영법과 평행촬영법의 비교

상투영의 5원칙 등각촬영법 평행촬영법
1. 방사선원은 가능한 작아야 한다. 0 0
2. 방사선원과 피사체 간의 거리는 가능한 한 멀어야 한다. X 0
3. 피사체와 필름간의 거리는 가능한 한 짧아야 한다. 0 X
4. 피사체와 필름은 가능한 한 평행이 되어야 한다. X 0
5. 중심선은 피사체와 필름에 대해 각각 가능한 수직으로 조사되어야 한다. X 0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