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사 국가고시/구강해부학

[치위생 국시자료][구강해부학 요점정리]상악골

콩지_11 2019. 5. 30. 18:57
728x90
320x100

 

안녕하세요~ 콩지입니다

저번에 이어 오늘도 구강해부학 요점정리한것을 보여드릴려고 하는데요,

구강해부학에 대해 쭉 정리를 하는게 나은지 아니면 조금씩 다른과목도 같이 하면좋을지

고민중이예요ㅠㅠㅠ

한번에 너무 많은 양은 올릴수가 없기 때문애 한 과목을 다 마무리하고 다른과목을 하는게 맞는지....

여러분들의 의견도 듣고 싶어요ㅜㅜ 댓글로 달아주시면 제가 참고 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올리는 내용도 후배님들께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열심히 하루도 빠지지 않고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강해부학 요점정리]

tip:하악골과 상악골은 정말 중요한 부분이라 그런지 A문항으로 잘나오더라구요

 하악각은 연령에 따른 하악각 변화 꼭 확인하셔요

<하악골>

하악각: 하악체와 하악지 사이의 각

연령에 따른 하악각과 하악골의 변화

출생직후 하악각 175/ 하악각 근처 이공 위치

유치열 형성기(1~3) 하악각 둔각

유치열기(3~6) 하악각 약 140/ 1유구치 하방 이공 위치

혼합치열기(6~12) 하악각 약 140/ 1유구치와 제 1유구치 사이 이공 위치

성인 하악각 약 110~120=직각에 가까움 / 2소구치 하방 이공 위치

노인 하악각 140/ 치조연 가까이 이공 위치

 

 

 

 

 

<상악골>

상악골(위턱뼈) 봉합으로 연결된 뼈 4개의 면 / 4개의 돌기 / 상악동

상악체(위턱뼈몸통)

(1) 안면(얼굴면)

(2) 측두하면(관자아래면):관골하능의 후방의 상악체 후면

안와하연: 안와 아랫부분 가장자리

안와하공: 안와 중간에서 2cm 떨어진 곳 위치 / 안와하관의 구멍으로 안와하신경 및 혈관 통과

견치와: 구각을 올리는 작용을 하는 구각거근 기시

안와하공 아래의 상악골에서 골의 두께가 제일 얇은 함요

치조(이틀): 치아 수용

이상구(뼈콧구멍): 비강의 입구

비절흔(코패임): 골로 된 외비공의 구부러진 가장자리

견치융기: 상악 견치의 순측치조골이 돌출되어 있는 부위

관골하능(광대아래능선): 1대구치 부위에서 상방으로 향하는 융선

후상치조공(뒤위이틀구멍): 후상치조신경(상악 대구치와 그 부위의 협측치은에 분포) 및 혈관 통과

상악결절: 후상치조공 아래의 최후방 대구치 후방에 위치한 둥근 융기 / 제일 풍융한 곳

(3) 안와면(눈확면): 상악체의 윗면

(4) 비강면(코면): 상악체의 내측면

안와하구(눈확아래고랑): 골안면에 있는 안와하공으로 이어져 개구/안와하관이 시작하는 곳에 안와면 후방 위치

안와하관: 안와하신경 및 동맥 통과

전상치조관(앞위이틀관):

안와하관에서 나오는 앞쪽의 관 / 전상치조신경(상악 전치 및 그 부위의 순측치은에 분포) 통과

중상치조관(중간위이틀관):

안와하관에서 나오는 뒤쪽의 관 / 중상치조신경(상악 소구치 및 그 부위의 협측치은에 분포) 통과

상악동열공(위턱굴구멍): 중앙에 있는 큰 구멍 / 상악동의 입구

누낭공(눈물고랑): 상악동열공의 전상방에 있는 비루관지나가는 구

골비루관(코눈물뼈관): 누골 + 하비갑개의 누낭구

대구개구(큰입천장고랑): 상악골 뒷모서리에 있는 구

대구개관(익구개관): 구개골 + 접형골에 있는 익구개구 or 대구개구

대구개공: 대구개신경(상악 구치부 설측치은 및 점막 분포) 및 혈관 통과

돌기

(1) 전두돌기(이마돌기) 비골과 안와 사이

비갑개능 하비갑개가 부착되는 비스듬한 능선

사골능(벌집능선) 내측면에 중비갑개가 부착되는 비스듬한 능선

(2) 관골돌기(광대돌기) 관골과 봉합을 이루는 상악골의 외측돌기

관골하능 관골돌기에서 상악 제1대구치 부위로 내려가는 융기

관골상악봉합 안와하연에서 안와하구까지의 봉합 / 상악골의 관골돌기 + 관골의 상악돌기

(3) 치조돌기(이틀융기)

(4) 구개돌기(입천장돌기) 상악골의 수평으로 된 판 / 구강과 비강의 경계

구개극: 구개구를 따라 있는 골능

구개구(입천장고랑): 대구개신경 및 대구개동맥이 통과하는 관 형성/ 구개돌기의 아랫방 후외방, 구개하면의 뒤에서 앞으로 주행하는 구

횡구개봉합: 구개돌기 + 구개골의 수평판

정중구개봉합: 좌우 상악골의 구개돌기 / 경구개의 전방을 이룸

구개소와: 구개봉선 뒤쪽에 좌우에 위치하고 경구개와 연구개의 경계부위

절치관: 비강의 바닥에서 쌍으로 된 관으로 시작하여 구개정중선의 앞쪽에 있는 절치공으로 열림

절치공: 정중구개봉합의 제일 앞&상악 중절치 바로 뒤쪽에 있는 절치관이 구강으로 열리는 구멍/

*우 비구개신경(경구개 전방*상악 전치 설측치은에 분포) 및 접구개동맥의 하행중격동맥 통과

절치유두: 절치공 바로 위 볼록하게 솟아있는 연조직

절치와: 비강 바로 아래에서 절치의 치근을 덮는 골의 얕고 오목한 구조

절치봉합: 상악골의 구개돌기 사이의 봉합 / 절치공에서 상악 견치와 측절치 사이의 틈

비능: 구개돌기의 상내측면의 길이를 연장시킨 내측 능선

대구개공: 대구개신경 및 혈관 통과 / 상악 제3대구치 치근단 쪽 위치

상악동(위턱굴) 상악 견치와 소구치 후방에 자리 잡은 부비동 가장 큰 공동

부비동의 기능 소리의 공명 / 분비물 배출 / 머리 무게 감소 / 공기의 습도 및 온도 조절

(1) 상악동저(위턱굴바닥)

(2) 상악동의 벽

천장 안와면 위쪽 안와&아래쪽 상악동

전벽 상악골의 안면

후벽 상악골의 얇은 측두하면

(3) 상악동의 신경 및 혈관 분포

신경 후상치조신경

혈관 상치조동맥 / 대구개동맥 가지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