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사 국가고시/구강해부학

[구강해부학]치위생국시과목/구강의 구성에 대해 알아볼게요!!/치위생국시과목 요점정리

콩지_11 2022. 11. 3. 13:26
728x90
320x100

 

안녕하세요 콩지입니다. 

11월이 되면서 문득 생각해보니 후배님들의 국시가 다가오는걸 느꼈어요!!!

작년 열심히 치위생국가고시 요점정리를 포스팅으로 올리고 있었는데.... 중간에 공백기가 생겨버렸죠ㅎㅎ

한가지를 꾸준히 하는게 정말 힘든것 같아요ㅠㅠ

그래서 오늘부터 다시 국시 요점정리 본들을 올려드리려고 합니다.

12월 국가고시 필기 합격을 기원하면서 구강해부학은 정말 암기 과목이기에 다외우긴 힘들거예요

그래서 제가 공부한 방법은 기출문제 위주로 보자는거였어요~

자주 나오는 기출만 잘보시면 쉽게 맞추실수 있을거예요 화이팅!!!

 

소중한 제 자료들이기 때문에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구강의 구성

입술 구순선

협근을 뚫고 구강전정의 협점막에 있는 이하선유두에 이하선관이 개구 / 협선

경구개 앞쪽 지배신경(비구개신경) 뒤쪽 지배신경(대구개신경)

연구개 앞쪽 주름(구개설궁) 뒤쪽 주름(구개인두궁) 구개편도(두 주름 사이의 오목한 부위)

지배신경 소구개신경

구강저와 인두의 앞벽을 형성하는 근육

설맹공(혀막구멍) V자형 분계구에서 각을 이루는 부위에 약간 오목한 부분

설유두(혀유두)

사상유두(실유두) 설배면 전체 분포 / 쉬운 음식물 착색 / 혀의 앞에 주로 분포 / 가장 수가 많으나 미뢰 X

심상유두(버섯유두) 불규칙한 붉은 점 / 설첨에 많이 분포하고 미뢰

유곽유두(성곽유두)

설유두 가장 큼 / 설분계구 앞 V자 모양으로 분포 / 분계구 앞에 평행하게 8~15개 배열 및 미뢰

엽상유두(잎새유두) 혀의 외측면 뒤쪽 부위에 서로 평행하게 있으며 미뢰

설근(혀근육) 횡문근

(1) 외래설근(혀바깥근육): 기시(혀 밖) 정지(혀 안) 작용(혀의 위치 이동) 지배신경(설하신경)

이설근: 기시(이극[상방 이설근극])/ 정지(혀끝의 점막)/ 작용(혀를 낮추고 앞으로 내밂)

경돌설근: 기시(경상돌기)/ 정지(혀의 외측면을 따라 혀끝)/ 작용(혀를 뒤로 당기며 위로 올림)

설골설근: 기시(설골몸통설골대각)/ 정지(혀의 앞면과 아랫면)/ 작용(혀를 밑으로 내리며 뒤로 당김)

소각설근:기시(설골소각)/ 정지(혀의 앞면과 아랫면)/ 작용(혀를 밑으로 내리면 뒤로 당김, 혀의 위치 및 방향을 변화)

(2) 내래설근(혀속근육): 기시&정지(혀 안) 작용(혀의 모양) 지배신경(설하신경)

상종설근(혀위세로근) 혀를 짧게 하고 혀끝을 꼼

하종설근(혀아래세로근) 혀를 짧게 하고 혀끝을 꼼

수직설근(혀수직근) 혀를 납작하고 넓게 함

횡설근(혀가로근) 혀를 좁게 하며 혀 등을 세워 길게 함

 

혀의 신경지배


혀의 전방 2/3 혀의 후방 1/3 후두덮개 근처의 설근 부위
일반감각 설신경(삼차신경) 설인신경

미주신경
미각 고삭신경(안면신경)
운동신경 설하신경

구협(목구멍) 구강과 인두의 경계

타액선(침샘)

(1) 대타액선 이하선 악하선 설하선 순 (이하선(귀밑샘) 대타액선 가장 크며 타액분비량 두 번째)

종류 위치
지배신경
성분 분비관 개구 부위 타액의 분비
조절 신경
이하선
(귀밑샘)
귀의 전하방
지배신경(설인)
순수한 장액선
(묽고 단백질 )
이하선관 이하선유두 소추체신경의
부교감신경
악하선
(턱밑샘)
하악각의 전내측
지배신경(안면)
혼합선 악하선관 설하소구 고삭신경의
부교감신경
설하선
(혀밑샘)
설소대 양쪽 점막 밑 지배신경(안면) 혼합선 대설하선관
소설하선관
설하소구
설하주름

(2) 소타액선(작은침샘)

협선(볼샘) 협점막에 있는 혼합선

구순선(입술샘) 입술점막에 있는 혼합선

구개선(입천장샘) 구개소와에 개구하는 점액선

설선(혀샘) 전설선(혼합선) 후설선(점액선]) 외측설선(장액선) 유곽유두 하방에 개구

구치선(어금니샘) 상악 제2대구치 뒤쪽의 협점막에서 이하선관 개구 부위 근처에 있는 혼합선

 

구강소대(입안주름띠): 설소대 / 상순소대 / 하순소대 / 상협소대 / 하협소대

 
소중한 제 자료들이기 때문에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