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사 국가고시/예방치학

[예방치학]치위생 국시과목 예방치학 합격노트 공개

콩지_11 2021. 10. 11. 18:31
728x90
320x100

안녕하세요~ 콩지입니다.

오늘 진짜 아주그냥 폭풍 포스팅이 올라가고 있을거예요ㅎㅎㅎㅎㅎ

진짜 제가 가지고 있는 모든 치위생 국가고시 자료 다 풀어드릴거예요~ (기대하셔도 좋답니다!)

그중에서도 제가 진짜 빡시게 공부했던 예방치학 파트!!!!

여러분들 아주 씹어 드실수 있도록 제가 떠먹여드릴게요~

그럼 지금부터 포스팅 본격 시작합니다:-)

 

무료로 배포하는 자료들이지만 그래도 저에겐 너무나도 소중한 자료들이기 때문에 좋은댓글 많이 달아주셔요♥

 

★예방치학 포스팅은 저에게 저작권이 있기에 무단복제 무단도용은 절대 사절입니다

 

 


1. 칫솔과 세치제

1) 칫솔(Toothbrush)

(1) 칫솔의 형태: 두부(head) 강모 / 연결부위(neck) 두부와 손잡이 사이 / 손잡이(handle)

(2) 칫솔의 구비조건

청결유지 / 내구성 / 외관 양호 및 저렴한 가격 / 구강 내 용이하게 사용 가능

두부가 모든 치면에 도달 가능 / 강모가 일정한 탄력이 있으며 가늘어야 함

 

(3) 칫솔의 분류

용도에 따른 분류

일반칫솔 / 특별칫솔(진동칫솔*의치칫솔*치간칫솔)

칫솔질 동력에 따른 분류

수동칫솔 / 전동칫솔(치주질환자*장기입원환자*지체부자유자)

강모의 강도에 따른 분류

약강도 / 중강도 / 강강도

강모다발열수의 따른 분류

[1열강모다발] 치은출혈, 치은비대, 심한 치주염

[2열강모다발] 치주염 환자의 Bass법 시행

[3열강모다발] 정상인, 치경부 마모환자의 회전법

[4열강모다발] 정상인, 치면세균막 지수가 높은 환자의 회전법

강모단면모양에 따른 분류

[편평형] 회전법 [요철형] 치간 청결

[볼록형=철형] 설면 청결 [오목형=요형] *협면 청결

 

(4) 칫솔 선택기준

[인적 요인] 대상자의 연령

[대상자별 칫솔 선정 시 인적 요인] 일일 칫솔질 빈도

*강강도

평균 치면세균막지수/ 평균 일일 칫솔질 횟수 / 구강환경상태가 나쁘고 심한 흡연습관이 있을 경우

약강도

치경부마모증이나 과민성 치질증상이 있거나 심한 치주염이 있는 환자

구강환경상태가 좋고 평균 치면세균막지수도 낮으며 평균 일일 칫솔질 횟수가 비교적 높은 사람

 

(5) 칫솔의 보관

통풍이 잘 되어 건조가 잘되는 청결한 장소 및 두부가 위로 가도록 하여 서로 접촉되지 않게 보관함

 

 

2)세치제(dentifrices) 치아표면 세정 및 연마

 

(1)세치제의 성분[각 성분별 특징 출제 ]

[마모력이 가장 큰 것] 무수인산칼슘

[크림세치제의 주성분]

세마제

치아표면을 깨끗이 세정하고 치아표면을 활택하게 하는 세치제 성분

세치제의 주성분으로 25~60% 정도 배합 마모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성분

세정제(표면활성제)

세마제의 세정작용 보강 및 치아표면을 깨끗이 세정하는 작용

[합성중성세제의 세정작용]

부화작용 / 분산작용 / 침투작용 / 흡착작용

결합제

세치제의 구성성분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

구강에서 결합제가 분산되기 때문에 세치제에서 미생물이 증식할 가능성 방부제 배합

습윤제(보습제)

크림세치제가 건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합하는 물질

크림세치제의 물리적 성상이 고체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고 세치제의 조성을 안정하게 유지하는 기능

 

2. 개인구강관리보조용품 [각각 특징 및 사용가능한 환자 문제출제 ]

구취제거 치은의 혈액순환 촉진

치은표면 및 치은열구 내 상피세포의 각화 촉진

불소도포 시 불소이온과 치질표면의 접촉을 방해하는 막 제거

치면과 치은에 부착된 치면세균막을 제거함으로써 치아우식병과 치은염 예방

 

1) 치실:치간 청결에 가장 유용한 도구로 치간유두의 마사지 효과

[Super floss] 치간 사이가 많이 넓을 때*Floosing 해야 할 부위가 넓을 때

[Waxed floss] 초보자*과잉 충전물 변연*치은연하치석이 많을 경우*비교적 치간 사이가 넓은 환자

[Unwaxed floss] 불소국소도포시행자*치실 사용이 숙달된 자*비교적 치간 사이가 벌어지지 않은 젊은 층

[잘못된 방법 시행] 치은열상 / 치간 치경부의 치근 표면 마모 / 연조직 표면에 홈이 파진 듯한 상태

(1) 치실고리

가공의치의 인공치아 기저부 / 서로 고정되어 있는 치아 / 고정성 교정장치의 bracketwire 사이

가공의치부위의 지대치와 인공치아 사이 / 치간 사이가 너무 견고하여 치실이 접촉점을 통과하지 못할 때

(2) 치실손잡이

장기입원환자 / 지체부자유자 / 개구장애가 있는 사람

오심과 구토반사가 심한 사람 / 치실을 제대로 사용할 능력이 없는 사람

 

2) 치간칫솔

협면에서 설면으로 안팎 왕복운동

고정성 보철물을 장착하고 있거나 인공치아 매식물을 가지고 있는 환자

고정성 교정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환자의 bracket, wire , 치간 사이 등 치간이 넓은 환자

치아 사이나 치근이개부에 약제를 도포할 때 / 치은퇴축이 심한 치주질환 환자나 치주수술을 받은 환자

 

3) 고무치간자극기(Rubber tip)

치아 사이가 넓을 경우 원을 그리듯이 tip을 움직임

치간 사이가 넓고 치은이 비대한 경우에만 사용 권장

치주수술 후 치은을 정상형태로 회복 및 치간치은조직의 각화 촉진

[치간 유두 자극] 치은 마사지, 염증 완화 및 치면세균막과 음식물잔사 제거

 

4) 첨단칫솔

치간유두가 소실되어 치간 공극이 커진 부위의 치면세균막 제거용

일반 칫솔의 두부에서 전방부 몇 개의 강모단만 남겨놓은 형태와 유사함

최후방 구치의 원심면과 치아가 없는 부위에 인접해 있는 치면이나 고립된 치아

치간 사이 / 교정용 bracket, wire 주위 / 치은퇴축이나 치주수술 후 노출된 치근이개부

 

5) 물사출기

정기적인 칫솔질 사이의 시기나 교정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환자의 bracketwire 주위

 

6) 혀 세척기

구취 호소 및 흡연자 구취제거 및 억제효과 / 혀 표면에 열구가 깊거나 설유두가 긴 경우

 

7) 이쑤시개

[잘못된 방법 시행] 치은퇴축 / 치간 유두의 모양을 무디게 하는 등 심각한 치은 손상

8) 양치액

[상용양치액]

칫솔질 후 구강 내 남아있는 치면세균막을 제거하고 상쾌한 맛과 기분을 갖게 하며 구강 내 미생물의 양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킴 구강 내 구취제거

[치료양치액]

양치의 효과 향상, 구강병 예방 및 정지시키는 작용을 하며 구강조직의 건강 향상

불화나트륨 용액(치아우식예방) 클로르헥시딘*리스테린(치면세균막 감소 및 치주질환 예방)

9) 잇몸 마사져

치은에 넓게 분포된 치주염이나 치주 수술 후 환자의 잇몸 마사지에 사용됨

 

 

320x100